페임랩은 매년 초 온라인 참가 접수를 시작으로 페임랩 코리아 서류심사, 발표심사, 마스터클래스, 국내 본선 대회, 그리고 페임랩 국제대회 순서로 진행됩니다.
전체 경연과정과 발표 규정을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예선∙본선 과정
- 매년 초 온라인 접수를 시작으로 페임랩 코리아가 시작됩니다.
- 예선 심사 합격자는 가까운 지역의 본선 대회(발표 심사)에 참가합니다.
- 예선 대회는 관중 없이 심사위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지원자는 발표에 사용할 소품을 직접 준비하여 발표합니다.
- 발표자는 3분 간 하나의 과학이론 또는 개념을 발표하고, 발표가 끝나면 심사위원은 추가 질문을 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 예선 통과자는 본선대회에 앞서 4–5월 중 서울에서 진행되는 1박 2일 간 마스터클래스에 참가합니다.
- 마스터클래스를 수료한 참가자는 페임랩 코리아 본선대회에 진출합니다.
- 페임랩 코리아 본선 대회는 2–300여 명의 청중과 심사위원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 본선 대회는 미디어파트너를 통해 TV와 인터넷으로 방영될 수 있으므로 촬영됩니다.
- 본선 대회 참관을 원하는 분은 주한영국문화원이나 한국과학창의재단의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참관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본선 대회 진출자의 발표가 모두 끝난 후 심사가 완료되며, 본선 당일 시상식이 함께 진행됩니다.
발표 규정
- 발표시간은 3분이며 파워포인트와 같은 발표 자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발표를 위해 자신의 독창적인 소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품은 손에 들고 무대에 오를 수 있는 크기여야 하며 무대 위 설치 시간은 따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페임랩 코리아는 한국어로 진행되며 페임랩 국제대회는 영어로 진행됩니다. 국제대회에 출전하는 최종 1인은 발표 내용의 리뷰와 영어 스피치 교정 등의 준비 과정을 지원받습니다.
페임랩 연간 캘린더
2–3월 | 온라인 참가접수 |
3–4월 | 예선(서류, 발표) 심사 |
4월 | 마스터클래스 |
4–5월 | 페임랩 코리아 본선 대회 |
6월 | 페임랩 국제대회 |
7–12월 | 후속 지원 및 활동 |
※ 세부 일정은 변동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