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이나 힙합이 등장하기 오래 전부터 영미권의 문학은 라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시와 랩을 ‘블라인드 테스트’ 해보면 이 둘 사이의 연결고리를 알 수 있습니다. 가령, 랭스턴 휴즈(Langston Hughes)의 시와 ‘갱스터 래퍼’ 아이스-티(Ice-T)의 랩 가사를 창작자의 이름을 가리고 나란히 놓는다면, 무엇이 시이고 무엇이 랩인지 구별이 불가능합니다. 형식상으로 이 둘은 거의 같기 때문이지요. 휴즈의 시에는 아이스-티의 랩 가사처럼 완벽한 라임이 규칙적으로 자리 잡고 있고, 이를 비트에 맞춰 랩으로 부르면 사실상 완벽한 랩이 됩니다.
셰익스피어의 ‘소네트’(14행 서정시)로도 랩을 할 수 있습니다. 이미 형식상으로 완벽한 랩의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죠. 이를 실천으로 옮긴 사람이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아칼라(Akala). 영국의 작가, 시인, 역사가, 그리고 저널리스트로 스스로를 ‘블랙 셰익스피어’로 지칭하는 그는 라디오 방송에서 10분 만에 즉흥적으로 27개의 셰익스피어 작품 타이틀을 랩으로 풀어내며 알려지기 시작했고, TED 강연에서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를 비트에 맞춰 랩으로 퍼포먼스하기도 했습니다.
아칼라는 또한 사회적 기업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의 설립자이기도 합니다. 아칼라는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를 통해 청소년들이 셰익스피어와 힙합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그들 삶의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영감을 제공하며,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공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6년 12월에 ‘힙합 셰익스피어’ 공연을 위해 방한한 아킬라를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 김경주 시인이 만나보았습니다. 인터뷰 1편에서는 아칼라의 음악 세계와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한국을 방문하게 된 계기는?
김봉현: 한국에 온다는 소식을 듣고 놀랐습니다. 사실 한국은 미국이 아닌 다른 국가의 힙합음악에 특별한 관심이 없는 편이고, 또 힙합과 문학의 연결고리에 대해서도 많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국에 오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아칼라: 셰익스피어 400주기를 맞아 '셰익스피어 리브즈 페스티벌(Shakespeare Lives Festival)'이 진행되었습니다. 저는 평소 셰익스피어와 관련한 활동을 많이 하고 있기에 행사에 초청 받았습니다. 이번 공연을 통해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가 추구하는 여러 가지를 맛보기 형식으로 선보일 계획입니다.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어떤 단체인가?
김경주: 힙합 셰익스피어 컴퍼니에 대해 궁금하네요. 어떤 교육 철학을 가지고 있나요?
아칼라: 저는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별로 즐겁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에 가지 않았습니다. 선생님들은 저처럼 가난한 집의 학생이 반에서 1등을 한다는 사실을 외면하고 싶어 했어요. 그래서 영어를 못하는 학생들을 모아놓은 특별반에 저를 보내기도 했지요. 아직까지도 영국 곳곳에는 빈부격차, 계층차로 인한 기초교육의 위기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학생들을 가르칠 때 그들에게서도 배울 점이 있다고 늘 생각합니다. 그들을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지 않을 때 최상의 결과물이 나온다고 믿습니다. 칭찬을 하고 더 잘할 수 있다고 말해줄 때,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10대들은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지요. 모든 사람에게는 배우고자 하는 본능이 있고, 누구든 똑같은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생각하며 그들과 쌍방향 소통을 하는 것이 저의 교육 철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