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든버러 페스티벌의 마지막 주에 열리는 영국문화원 쇼케이스는 영국문화원의 초청을 받은 전 세계 200여명의 주요 극장 및 축제 관계자들이 일주일 동안 영국 공연예술계의 최신 공연들을 함께 관람하고, 네트워킹 행사를 통해 서로의 관심 분야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홀수 연도마다 개최됩니다.
2015년 10회를 맞은 영국문화원의 에든버러 쇼케이스에 한국 대표 공연 예술 관계자로 초청받아 참관한 LG 아트센터의 김지인 매니저가 에든버러 페스티벌의 이모저모와 쇼케이스에서 감상한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에든버러 페스티벌 그리고 공연 예술계의 떠오르는 흐름, 서커스
공연예술종사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가봤을 법한 에든버러 페스티벌에 공연계 입문한 지 십수년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발을 디뎠다. 영국문화원에서 주최하는 ‘에든버러 쇼케이스’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직접 가보진 않았어도 여름이 지나면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페스티벌 소식 때문이었는지 늘 익숙하게 느껴온 곳이었지만, 막상 공항에 닿고 도심으로 들어가니 흥분되고 설레는 마음을 감추기 어려웠다. 새삼스러운 감상이기는 하지만 예상보다 오래 지속되는 청명한 날씨와 오래된 건물들 사이로 낮게 펼쳐지는 스카이뷰는 지친 업무에서 벗어날 만큼 시원했고, 극장이나 학교는 물론 카페나 바 등 도시의 많은 공간이 공연장으로 변한 덕에 온 도시를 가득 채운 축제 분위기는 너무나도 매력적이었다.
8월 에든버러 전역에서는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 프린지 페스티벌, 타투 페스티벌, 북 페스티벌 등 다양한 페스티벌이 열리는데, 이 기간에 영국문화원에서는 전 세계의 공연예술관계자들을 초청하여 에든버러 쇼케이스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영국 공연예술단체들의 쇼케이스(동시에 프린지에 참가한 공연들이다)와 함께 영국의 연극/무용 공연의 경향을 살펴보는 세미나, 네트워크 프로그램, 영국의 주요 공연 단체들과 만날 수 있는 ‘트레이드 페어(Trade Fair)’ 등 알찬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주일간 에든버러 쇼케이스 프로그램 참관을 위해 머물면서 인상에 남았던 두 가지는 강세를 보였던 서커스 공연들과 한 마리의 ‘소(cow)’였다. 최근 우리나라에도 제법 다양한 형태의 서커스들이 공연되고 있고, 서커스 전용 공연장이 오픈하기도 했지만, 아직은 ‘서커스’하면 태양의 서커스나 동춘 서커스를 떠올리는 경험의 폭이 넓지 않은 관객들은 ‘왠 서커스?’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프랑스와 캐나다를 중심으로 확산되어온 다양한 서커스와 아크로바틱 공연들은 이제 세계의 공연예술계에서 하나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은 듯 하다. 비보잉이나 클래식 장르 등 다양한 요소들이 가미된 복합 장르의 작품들을 접하게 된 한국의 관객들도 이제는 넓은 의미의 ‘서커스’라는 장르를 수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국은 앞선 두 나라에 비해 비교적 늦게 서커스에 눈을 뜬 편이지만, 에든버러 페스티벌에서도 점점 서커스 공연들이 늘어나는 추세인 것은 확실한 듯 하다. 페스티벌 기간 동안 관람한 영국 단체의 서커스 공연은 ‘Bromance’와 ‘4x4 Ephemeral Architectures’ 그리고 ‘Ockham's razor’라는 작품이었다. ‘Bromance’는 예상 가능한대로 남자들의 진한 우정을 구성으로 한 공연이었다. 세 남자의 관계를 소재로 비보잉과 아크로바틱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작품이었는데, 규모가 큰 작품은 아니었지만, 유쾌하고 매끄러운 구성과 젊은 출연자들의 패기와 귀여움(?)이 느껴져서 그런지 젊은 여성 관객들의 호응을 꽤 많이 얻은 듯 했다. ‘4x4 Ephemeral Architectures’는 저글링과 발레를 결합한 공연인데, 4명의 저글러와 4명의 발레 무용수들이 퀸텟의 라이브 연주와 어우러져 펼쳐졌다. 공, 봉, 링 세 가지의 저글링이 발레 무용수들의 동작과 교차되거나 어울리며 구성되었다. 발레와 음악 그리고 저글링이 만들어내는 그림들이 제법 아름답게 표현되는 장면들이 있어 인상적이었다. ‘Okham’s razor’는 2개의 짧은 작품으로 구성되어 30분 정도 공연되었는데, 각각 뗏목 모양처럼 생긴 철봉과 박스를 응용하여 그리 고난이도 기술은 아니었지만 스토리와 음악, 기술이 깔끔하게 정리된 흥미로운 공연이었다. 세 작품 모두 아이디어나 기술적인 면, 완성도에 있어서 놀랄만한 감동은 없었지만 비보잉, 클래식 등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는 공연들의 흐름을 맛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즐거운 경험이었다.